우리나라는 돌아가신 부모님이나 조상님들에게 기일 때마다 제사를 지내곤 합니다. 이는 유교사상에 의한 풍습으로 고인에게 음식과 술을 대접하여 넋을 기리는 의례입니다. 현대시대에는 종교적 이유나 핵가족화로 제사를 지내지 않거나 점차 간소화돼 가는 추세인데요. 오늘은 제사상 차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사상차림
제사상을 차리는 방식은 각 지역과 가정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고인이 생전에 좋아하던 음식을 올리기도 하며 각 가정마다 특별히 준비하는 음식들도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많이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상차림에 대해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5열 갖추기
제사상은 음식의 종류에 따라 다섯 개의 열로 나누어 차리게 됩니다.
- 5열 : 제사상에서 가장 앞줄을 말합니다. 5열에는 각종 과일과 한과류를 올리며 제사상 차리는 법의 한문어구로 조율이시와 홍동백서를 따라 대추, 밤, 배, 곶감 순으로 올리며 동쪽은 붉은색 서쪽은 흰 과일을 올립니다.
- 4열 : 4열은 상을 차리는 사람을 기준으로 두 번째 줄을 말합니다. 가장 왼쪽은 명태포를 놓고 그 옆으로 각종나물 (도라지, 고사리, 콩나물, 시금치등)과 간장 물김치 식혜등을 올립니다.
- 3열: 세 번째 줄 3열은 3가지 탕인 육탕과 소탕 어탕이 올리는데 이는 지역에 따라 달라지며 요즘은 간소화되어 육탕이나 소탕 한 가지만 올리기도 합니다. 3열 양 끝에는 촛대를 놓습니다. 3열의 한문 어구로는 어동육서가 있으며 동쪽에 생선, 서쪽에 육류를 올리는 의미를 가집니다.
- 2열 : 두 번째 줄인 2열은 각종 전과 적이 올라갑니다. 순서는 서쪽으로부터 기름으로 부친 육전, 소고기를 구워만든 육적, 두부부침인 소적, 조기나 굴비등을 구운 어적, 생선을 포를 떠 기름에 부치는 어전 순으로 올립니다.
- 1열 : 상을 차리는 사람 기준으로 가장 마지막줄인 1 열입니다. 지방(신위)에서 가장 가까운 줄이며 밥, 술잔, 탕국을 올립니다. 명절 차례상에는 이 부분에 떡국이나 송편을 올리기도 합니다.
제사상에 올리면 안 되는 음식
제사상에는 치로 끝나는 생선 (예: 갈치, 꽁치, 삼치등) 은 올리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유는 시중에 흔하고 가격이 저렴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복숭아처럼 털이 있는 과일 또한 혼령을 쫓기 때문에 올리지 않습니다.
음식에도 고춧가루와 마늘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간장대신 소금으로 간을 하고 맵고 자극적이지 않게 조리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제사상 차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지역 와 각 가정마다 제사상차림의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하므로 오늘 안내해 드린 일반적인 상차림 방법을 참고하여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만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